안녕하세요 경제초보엄마 쩝이입니다. 😁
며칠 전 포스팅에서 부산의 지역화폐 동백전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요!! 동백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와 발급, 결제방법 및 캐시백, 꿀팁 등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 분은,
2025.02.12 - [3. 생활팁&지원] - 부산지역화폐 동백전!! 지역화폐 A to Z까지 계좌등록부터 결제혜택 캐시백까지, 왜 안해!?요우ㅎㅎ
이 글을 참고해 주시구용!! 이 글의 말미에 잠깐 소개했었던 동백전 후불 교통카드에 대해 혜택과 사용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해 보고자 해용!!!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1. 동백패스와 동백전 후불 교통카드의 차이점
동백전은 부산시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만들고 운영하고 있는 지역화폐로서, 결제기능뿐만 아니라 후불 교통카드 기능까지 있어, 부산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그리고 동백패스는 처음엔 없었지만, 보다 대중교통을 장려하고자 만들어진 제도로, 이 후불 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으로 월 4만 5천 원 이상 이용 시, 초과 금액의 최대 4만 5천 원을 동백전으로 환급해 주는 제도예요.
2. 동백패스 란?
동백패스는 위에서 말하듯이 부산 내에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을 위한 환급 제도로, 월 4만 5천 원 초과 이용 시 초과 금액에 대해 최대 4만 5천 원까지 환급금이 적용돼요.
그리고 적용되는 대중교통은 부산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도시철도, 경전철, 동해선 등이며, 참고로 2000번 버스는 제외라고 하니 참고 하시구요.
이렇게 초과 금액에 대해 환급을 받기 위해선 동백전 교통카드가 필수로 등록되어 있어야 하니, 근데 이건 뭐 당연한 선조건인 거 같기도 하구요
3. K패스 란?
K패스는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최대 53%까지 적립을 지원해 주는 제도로, 적립률은 일반적으로 20%, 청년 30%, 저소득층 52%로 차등이 있어요.
적용되는 대중교통은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으로 다만, 시외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받은 경우는 제외한다고 해요.
이러한 지급을 받으려면 최소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야 하고 또, 그 한도가 최대 60회를 한도로 지원한다고 하며, 만약 이용금액이 20만 원 초과 시 초과 금액의 50%만 적립 대상이 된다고 해요. 근데 이건 또 경기, 인천지역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니 경기, 인천지역분들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래용!!
4. 동백패스와 K패스의 신청방법
이러한 동백패스와 K패스를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각 이용자별로 나눠 볼 수 있겠는데요.
- 동백패스 이용자 : K패스 회원가입 후 동백전 카드 등록
- K패스 이용자 : 동백전 회원 가입 및 교통카드 발급 → K패스 앱 내에서 동백전 카드로 등록 변경
- 신규 이용자 :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후 동백패스, K패스 모두 가입
이처럼 일단 기본적으로 둘 다 동백전 교통카드가 있어야 하고, 각 이용을 하려는 서비스에 회원가입을 하고 사용하셔야 해용!!
5. 동백패스와 K패스와의 비교 & 선택
이 둘을 비교하자면 먼저 동백패스는 월 4만 5천 원을 초과해야지만 환급금 혜택이 생기고,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사용해야지만 적립이 이루어져요. 그래서 아주 적게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아주 많이 이용한다면 하나의 선택을 할 필요가 없어 보이는데요.
항상 우리가 고려하고 비교하는 건 그 약간의 혜택을 더 보고자 하는 거잖아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냥 두 패스 모두 가입을 하자!!!입니다. 둘 다 가입해 놓으면 이게 거의 연계가 돼서 자동으로 더 큰 혜택이 적용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이거 거의 AI급으로 똑똑한 기능 아니에요!?😁😁😁
그래서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우리는 위 "4. 동백패스와 K패스의 신청방법"에서 나오는 방법으로 둘 다 가입을 하는 거로 약속하자구욧!!!😄
6. 동백패스와 K패스의 환급방법과 시기
이러한 동백패스와 K패스는 각각 환급방법과 시기가 다른데요.
동백패스는 다음 달 15일경에 동백전의 정책지원금으로 환급이 돼요. 그래서 그 정책지원금으로 동백전처럼 사용하시면 돼요.
반면에 K패스는 날짜는 카드사별로 입금일이 상이하고 카드 결제 계좌로 환급이 된다고 하니 이건 카드사별로 알아보셔야 할거 같고요. 선불형 카드(동백전)를 사용할 경우는 사전에 이주웅전소앱 설치와 카드등록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고 충전금으로 지금 시 사용자가 직접 수락해서 지급을 받아야 된다고 해요.
7. 삼성페이 지원여부
위의 제도들은 동백전 실물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실적을 인정해 줘요. 그래서 삼성페이나 이런 휴대폰으로 교통비를 지불하는 거는 안된다고 하니 이 점은 조금 불편할 수 있겠어요.
이렇게 오늘은 전국에서 활용 가능한 K패스와 부산에 특화된 동백패스에 대해 비교해 보고, 각각의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어요.
다시 짧게 요약하자면 동백패스는 월 4만 5천 원 초과해서 사용해야 하고,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사용했을 때부터 환급액이 발생하기 때문에 우리가 어떤 것을 선택할지 고민이 되지만, 어차피 둘 다 가입이 가능하고 가입해 놓으면 둘 중 더 큰 혜택이 자동으로 적용되니깐, 우리는 묻-따 로 둘 다 가입하쟈!! 라는게 오늘의 요약이었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자차보단 뚜벅이나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데, 이번 기회에 좋은 제도를 다시 한번 더 정확히 짚고 넘어갈 수 있는 기회가 돼서 좋았어요!!
여러분에게도 유익한 정보가 됐으면 좋겠는 마음을 가지고 오늘은 여기서 맺어볼까 해요.
그럼 여기까지 경제초보엄마 쩝이였습니다.
우리 다들 큰돈, 작은 돈 아껴서
부~~자 됩시도!!
그 날을 위하여~~ 안녕!!😁
'3. 생활팁&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특히 태국여행의 새로운 절약 방법, 네이버페이 머니 카드 and QR결제 혜택 및 이벤트 총정리 (3) | 2025.04.18 |
---|---|
모두들 기름값 벌어가세요~! 2025년도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 모집실시(Feat. 최대 10만원) (3) | 2025.03.06 |
부산지역화폐 동백전!! 지역화폐 A to Z 까지 계좌등록부터 결제혜택 캐시백까지, 왜 안해!?요우ㅎㅎ (3) | 2025.02.12 |
단통법 폐지 확정 핸드폰 싸게 사는 법 통신사 이동 번호전환 지원금 알뜰요금제 (1) | 2025.02.07 |
휴대폰통신비 절약방법!!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및 장단점과 개통방법부터 각종 꿀팁까지!! (3)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