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지식

부모 자녀 주식계좌 증여 후 운영, 증여세 낼수도?! 그리고 인적공제도 조심!!

쩝이# 2025. 4. 2. 07:32

안녕하세요 경제초보엄마 쩝이입니다. 😁
 
  여러분들 요즘 자녀들에게 10년 단위로 재산을 증여해 주시는 분들이 많다고 들었어요~!
  그 중에서도 어차피 장기적으로 본다고 생각하셔서 증여해 준 재산으로 주식을 사주시는 분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여기서 여러분들이 알아야 하는 점들이 있다고 또 하네요..!? 😱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려고 해요!!
 
  그 전에 자녀들에게 증여해 주는 증여세에 대해서 한 번씩 더 복습하고 오시면 더 빠른 이해가 되실 거예요!!
 

2025.03.10 - [1. 경제지식] - 부모 자식 간 증여세, 그 비과세 공제&면제 한도 총정리!!

부모 자식 간 증여세, 그 비과세 공제&면제 한도 총정리!!

안녕하세요 경제초보엄마 쩝이입니다. 😁 여러분들 각자 부모님일 수도 있고 앞으로의 부모님일 수도 있고 지금 자녀분들일 수 도 있는데,오늘은 부모 자녀 증여세의 면제 한도와 금액별 세율

jjeob2-moneyjoa.tistory.com

 

 
자!! 다녀오셨다면 그럼 시작해 볼까요!? 😁
 


 

1. 최근 자녀 재산증여 트렌드

 

출처. 미래에셋

 
  요즘에는 부모가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는 방식이 최근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어요.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면 증여 시점의 시가(증여일 전 후 2개월 종가 평균)를 기준으로 증여세가 부과되고, 가치 증가분에 대해선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에요!!
 
  최근에는 미국 주식도 조금 많이 주춤하고 있었긴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미성년 서학개미"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핫하게 하셨었다고 해요.
 
 

2. 자녀 주식투자, 증여세 과세 대상!?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할 때 꼭 주의할 점이 있다고 해요. 혹시 주식 증여 시 신고하지 않거나, 자산을 불려주기 위해 자녀 계좌의 주식을 매매했다가는 증여세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요!!
 
  부모님들이 주식을 증여하면서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부모가 자녀 대신 주식을 사고팔고 매매를 하는 행위예요. 미성년자 명의 주식 계좌에서 거래가 활발하면 아무래도 자연스럽지는 않죠!? 그래서 자칫하다간 자녀의 주식 계좌가 부모의 차명계좌로 분류될 수도 있고 수익을 다 돌려내야 할 수도 있다는 거예요. 😢
 
  국세청등 과세 당국에서는 부모의 적극적 주식 거래 행위를 사실상 증여 행위의 하나로 본다고 판단한다고 하네요.. 현행 세법상 부모가 무형의 재산을 자녀에게 무상 이전하는 것도 증여로 간주한다는 명목이 이렇게 해석되는 것 같아요. 결국 부모의 도움으로 증가한 주식 가치에 대해 부모의 기여분이 얼마나 되는지 따져서 증여세를 부과한다는 말인 거죠..
 
 

3. 주식 증여 신고를 안 한다면..?

 

 
 
  부모가 적극적으로 주식 거래를 해서 가치가 늘었다면, 그 최종 주식 가격을 증여 총액으로 본다고 하네요.. 만약 처음엔 2,000만 원을 증여했더라도, 주식의 가치가 5,000만 원으로 증가했다면 결국 5,000만 원을 증여한 것으로 본다는 거예요..!! 아이구... 말이되나유...ㅠㅠ
 
  특히,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고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엔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고 해요. 만약 미성년 자녀에게 2,000만 원을 증여할 경우 비과세라 증여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오해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과세 대상이 아니라도 증여를 했다면 괄할 세무서에 신고를 일단 하셔야 해요. 특히 상장주식 증여 신고기한은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이라고 해요. 혹시.. 증여를 신고하지 않았다가 적발되면 20% 가산세가 붙는다고 하는데.. 금액이 금액인지라 20%면.. 어마무시하죠..🥺
 
  그리고 위에서 말하는 것처럼 자식의 계좌가 부모의 차명게좌로 간주될 수 있다고 했는데요. 만약 그렇게 된다면 형사 처벌 대상은 아니더라도, 금융실명법 위반으로, 이자와 배당소득의 99%를 거의 모두 다 세금으로 내야 한다고 하니 유념하셔야겠어요....
 
  

4. 자녀 주식계좌 운용 절세 방법은?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절세해야 할까요!?
 
  일단 먼저 자녀가 직접 투자해야 해요!! 아무래도 자녀가 연령층이 어리다 보니 자녀의 계좌가 매매가 활발하다면 자녀가 아닌 부모가 했다고 간주될 것이고, 그게 문제가 될 거 같다고 보이는데요. 만약 자녀가 직접 투자에 판단을 하고 행하고 그 증거가 있다면 뭐가 더 이상 필요하겠어요. 하지만.. 이건 사실 쉽지 않겠죠..??
 
  그렇다면 일단 먼저 증여 공제한도를 생각해서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는 10년간 2,000만 원까지 증여세가 없이 증여 가능하니 이를 초과하지 않는 등 비과세 한도를 먼저 체킹 해주시고요~!!
 
  부모의 직접적인 운용개입을 없애야겠죠!? 아무래도 적극적인 매매활동이 보인다면 부모가 적극적으로 한 것으로 보이기에 사실상 부모의 투자로 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러니 매매가 거의 없게 장기 투자 상품으로 꾸준하게 해서 자녀들이 직접 적금처럼 꾸준히 할 수 있는 쪽으로 교육하면서 저축하는 방법이 어떨까 싶네요 ㅎㅎ 특히 ETF 같은 장기 투자 상품들도 많이 있으니 고려해 보세요!! 😉
 
 

5. 자녀 인적 공제 제외는.. 왜??

 
  저도 이번에 알았는데, 자녀 계좌로 어느 수준 이상의 수익이 생기면.. 
 
  우리의 13월의 월급 혹은 세금인 연말정산 때 우리 자녀의 인적공제의 혜택을 못 받을 수도 있다고 해요!!
 
  인적공제받는 경로자체가 미성년자 자녀를 양육하는 등의 이유로 공제액을 받는 건데.. 어느 수준 이상의 수익을 가져간다면 양육한다고 보지 않아서 그런지 인적 공제에서 제외가 된다고 해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연말정산에 대해 다시 알아볼 때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
 


 
  오늘은 이렇게 자녀들에게 증여, 주식증여를 하는데 유의점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자녀 명의 주식 계좌를 개설해 줄 때는 세금 이슈를 철저히 체크하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운용하시는 것이 제일의 핵심인 거 같아요. 혹시 세금 문제로 고민 중이시라면 주변의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 같아요!!
 
그럼 여기까지 경제초보엄마 쩝이였습니다.
우리 다들 큰 돈, 작은 돈 아껴서
부~~자 됩시도!!
그 날을 위하여~~ 안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