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초보엄마 쩝이입니다. 😁
여러분들 각자 부모님일 수도 있고 앞으로의 부모님일 수도 있고 지금 자녀분들일 수 도 있는데,
오늘은 부모 자녀 증여세의 면제 한도와 금액별 세율 정보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려구용!!
안그래도 예전부터 상속세 논란 이런 것들도 많은데요. 물론 저는 상속세를 걱정할 정도로 재산이 아예 없지만..
그래도 이런 비과세는 알아놓고 미리 해놓는게 좋잖아요!?😄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
1. 증여세란?
증여세는 국세의 일종으로, 증여세는 누구에게서 대가 없이 받은 재산에 대한 세금이에요. 이와 유사한 상속세는 말 그대로 누군가 사망했을 때 그로부터 받는 상속 재산에 대한 세금으로 차이점이 있어용~!!

그래서 타인으로부터 일정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수증자는 그 재산에 대한 세금을 신고, 납부한 의무가 주어지는 거라네요~? 😱
대신 이 증여세에 대해 정부에서 여러 공제를 해주는 항목이 있는데, 이제부터 알아보려구요. 😉
2. 증여세 공제, 면제한도(feat. 부모자녀 간 증여세 공제)
일단 먼저 공제 혜택은 10년간의 누계한도로 적용된다고 해요.
그리고 그 공제 혜택은 주고받는 사이에 관계에 따라 공제금액이 다르다고 하는데요~!

오늘 우리가 알아볼 부모자녀 간 증여에서는 자녀가 성년이냐 미성년이자의 차이가 있다고 해요!!
미성년인 자녀에겐 10년간 누계한도로 2,000만 원 한도로 공제가 된다고 하구요~
성년인 자녀에겐 10년간 누계한도로 5,000만 원 한도로 공제가 된다고 해요!!!
3. 증여세 혼인, 출산 공제 혜택
위에서처럼 부모님께 증여받을 때, 공제되는 금액에 한도가 있는데요. 여기에 추가적으로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요건이 있어요!!
바로 우리나라 최근의 문제점인 혼인률, 출산율 저하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추가 공제혜택을 주는 건데요!!
혼인, 출산, 입양 시 수증자 1인 기준으로 1억 원의 증여세 면제 혜택이 적용된다고 해요. 단, 출산과 혼인의 경우 수증자가 평생 적용받을 수 있는 공제 혜택은 1억 원으로 한도가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또 혼인과 출산의 경우 앞서 본 직계비속 공제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과는 별도이니 참고해 주시길 바래요!!
더 자세히 보자면, 혼인의 경우에는 혼인신고일을 기준으로 이전 2년, 이후 2년 동안 증여받은 부분에 대해 증여재산 공제를 받으실 수 있어요.
그리고 출산을 한 자녀의 경우엔 출산일로부터 2년 이내에 증여를 받으시면 된다고 해요!!
이렇게 혼인과 출산을 합해서 1억 원의 추가 공제가 가능하다고 해요!! 합쳐서니깐 주의하셔야 합니다!?

4. 증여세 공제 활용하기 꿀팁
면제한도는 10년간의 재산은 합산하여 적용되죠~!?
그래서 아이가 어린 경우에는 아예 처음부터 10년을 계획으로 신고하는 방법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 성인은 20세니, 아이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 10년씩 2회 최대 4,000만 원을 증여해서 공제를 받고, 성인이 된 후부터는 5,000만 원 공제가 적용되니 이 타임테이블로 증여를 하면 최대의 수혜를 받겠죠!?
그리고 최근에는 주식을 가장 많이 활용해서 증여하는데, 주식으로 사놓으면 증여 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증여되기에, 미래 금액이 10배든 100배든 늘어나도 추가 과세가 되지 않으니 참고하셔서 증여를 하시면 좋으실 거 같아요!!
자, 오늘은 이렇게 부모자녀 간에 증여세 비과세 혜택이 어떤지 그리고 더 절세를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봤는데요.

결국 기간 내에서 증여할 수 있는 금액은 한도가 있고, 그 이외에 비과세혜택을 받고자 한다면 결혼, 출산은 해야만 하겠네요!?ㅎㅎ 그렇다고 이걸 위해 결혼, 출산을 하시는 건 무의미 하지만.. 그래도 최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숙지하시고 나서 여러가지 선택지를 가지고 여러분이 선택하시길 바래요.😉
그럼 여기까지 경제초보엄마 쩝이였습니다.
우리 다들 큰 돈, 작은 돈 아껴서
부~~자 됩시도!!
그 날을 위하여~~ 안녕!! 😁
'1.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으로 10억짜리 아파트를!? 지분형 주택담보대출이란? (1) | 2025.04.29 |
---|---|
부모 자녀 주식계좌 증여 후 운영, 증여세 낼수도?! 그리고 인적공제도 조심!! (3) | 2025.04.02 |
2025년 근로 자녀장려금 이 돌아왔다 신청기간 및 지급기준은? (1) | 2025.03.22 |
부모 자녀 재산 증여세 공제 및 폭탄 증여세 피하기(feat. 계좌이체 조심!!) (1) | 2025.03.14 |
매년 돌아오는 위텍스 자동차세 조회방법 2025년 자동차세 할인율과 납부기간, 납부방법 및 꿀팁 (2) | 2025.01.19 |